③김장생 선생 묘소일원: 충남 논산시 연산면 고정리에 있는 김장생의 7대 조모인
광산김씨의 중흥을 일으킨 양천허씨와 그 아들 김철산과 부인,공안공 겸광,공휘,장생,선생
등 광산김씨 문중 사람들의 묘소와 김겸광과 김장생의 신도비는 묘와 떨어진 곳에 있고,
허씨의 재실인 영모재와 김장생의 사당인 염수재와 재실 등이 있다.
충청남도 기념물 제47호로 지정되어 있다.
④쌍계사: 논산의 최남단으로 충청남도와 전라북도의 경계지점인 양촌면 중산리에
작봉산[불명산]을 주산으로 삼고 두 계곡 사이에 자리하고 있다. 대웅전에 모셔진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은보물 제1851호로 지정되었고, 주불인 석가여래(높이190cm),
향좌 아미타불(높이180cm),향우 약사불(높이174.7cm)로 구성되어 있다.
⑤성삼문 묘소: 성삼문(成三問;1418~1456)선생이 한강가에서 거열(車裂)의 극형을 당한 후,
그 시신을 전국의 산하에 매장하였는데 그 과정에서 현재의 위치에 시신의 일부가 묻히게
되었다고 한다. 이러한 연유로 일지총(一肢塚)이라고도 전한다.
충청남도 논산시 가야곡면 양촌리 산58에 위치한다.
⑥견훤왕릉: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왕릉로 122에 위치한 이 묘는 후백제의 시조
견훤(甄萱;867~935)의 것이라고 전해온다.
충청남도 기념물 제26호로 1981년12월21일 지정되었다.
4) 소회: 여행지인 논산시는 양촌면을 주축으로 논산딸기축제(금년 4월4일~4월9일)가
지난 후의 방문이다. 지난 해 우리 부부가 여행한 곳이라 눈에 익고, 사전에 시간 배분도
신경을 썼으나 25고속도에서 매우 지체되어 1시간여가 늦게 시작되었으나 모두의
일사분란한 협동심으로 하루를 매듭 지울 수 있었다. 아쉽다면 너무 주마간산식으로
훑은 게 못내 아쉽지만 친구들이 다른 모임에서 충분한 혹은 집중적으로 시간을 내어
보충하면 되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견훤왕릉 가까이 삼봉분 있어서 가본 묘지, 첩이 아니고 본부인 사망후~
취풍덕에서의 가벼운 식사와 한 잔
끝
'국내 여행기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곡지와 연꽃 테마파크 (0) | 2017.08.01 |
---|---|
만석공원 돌아보기 (0) | 2017.07.16 |
논산지역 관광-1 (0) | 2017.05.13 |
제주 세계지질공원 (0) | 2017.05.13 |
제주 세계지질공원-1 (0) | 2017.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