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여행기 등

사촌네와의 1박2일 (8월22일~23일)-4

아름답지만~ 2013. 9. 19. 23:12

 

1.연꽃의 종류

☉홍련,백련: 가장 흔히 볼 수 있으며,꽃은 탐스럽고 잎이 넓다. 분홍빛 홍련과 흰색의 백련으로 나뉜다. 꽃대가 곧고 길어 꽃이 수면에서 높이 솟아 있으며,꽃 가운데 벌집 같은 연밥이 있는 것이 특징이며 7~8월에 꽃이 핀다.

☉수련: 수련은 주로 관상 꽃으로 홍련 보다 꽃잎이 작지만 잎이 많고 화사하다. 수련은 연꽃에 비해 수면 가까이에서 꽃을 피우며 연밥이 없는 것이 특징이 다. 수련(睡蓮)을 수련(水蓮)으로 흔히들 알고 있으나 아침에 꽃봉우리가 활짝 열리고 오후가 되면 봉우리가닫쳐서 잠을 자는 연꽃이란 뜻이다. 수련은 종류가 다양해 40종이나 된다고 한다.

☉어리연: 연꽃 중 가장 작은 것이 특징이며,그 자태가 매우 귀엽다. 흰색 꽃 가운데 노란 반점이 있는 어리연은 꽃 전체가 잔 털처럼 갈라져 있어 마치 조화로 보이는 착각을 일으키곤 한다. 7~월에 꽃이 핀다.

☉노랑어리연: 이름도 모양도 비슷하긴 하지만 어리연과 노랑어리연은 엄연히 그 종이 다른 식물로 구분이 된다고 한다. 어리연보다 크기가 크며 전체가 노란색이다.

☉외개연: 크기는 어리연과 수련의중간으로 어리연꽃 보다는 크고 수련보다 작다. 노랗고 둥근 꽃이 제법 야무져 보이며 8~9월에 꽃이 피며 종류로는 왜개연과 남개연으로 구분되며,남개연은꽃의 가운데가 붉은 색을 띈다.

☉가시연: 수련과의 한해살이 식물로 꽃대가 짧으며 온통 가시로 뒤덮여 있다. 네 개의 자주색 꽃받침 안에 작은 꽃 을 피운다. 위의 다른 수련과의 종과 달리 가장 늦게 꽃이 피어 8월이 되어야 꽃을 볼 수 있다. 가시연은 크고 둥근 잎에도 가시같은 것들이 있어 가끔은 가시연의 가시가 잎을 뚫고 올라와 꽃을 피우기도 한다. 연꽃 중에서 가장 희귀종으로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로 지정되어 있다.

☉물양귀비: 엄밀하게는 연꽃은 아니지만 연밭에서 많이 자라는 수생식물이다.7~9월에 노란 꽃이 핀다.꽃의 가운데 붉은 빛을 띠며,꽃잎은 3장이다.아르헨티나가 원산지이며 물에 떠서 자란다.  

이하의 사진들은 누락된 것들을 발췌 첨부합니다.

                                                                                    위: 서암정사에서, 아래: 상림에서 배리모

                                                                                        위: 퀸오브사임, 아래: 에그갈라우본

                                                                                위: 사념, 아래: 대홍포

                                                                                위: 백묘영, 아래: 중수화

                                                                             위: 청풍, 아래: 백의전사

                                                                    위: 에치노도루스 마크로필루스, 아래: 골든웨스트

☂금왕휴게소에서 본 삼백초: 제주도와 지리산 일부지역에서 나는 삼백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습기가 많은 계곡의 바람이 잘 통하고 공중습도가 높으며 반그늘인 곳을 좋아합니다.꽃,잎,뿌리 세부분이 하옇기 때문에 삼백초라는 이름이 붙여졌는데,잎은 7월 꽃 필 때 흰색을 띠게됩니다. (by 한국도로공사)            

                                                     끝까지 보아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