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사진

제 27회 나라꽃 무궁화 수원축제-1

아름답지만~ 2017. 8. 4. 23:26

2017년 8월 4일부터 6일까지 3일간 수원시 장안구 송죽동에 위치한 만석공원에서는

무궁화 축제가 산림청과 수원시가 주최한다. 연일 폭염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치러지는 현장을 잠시 다녀와 정리하여, 어설피 알던 지식을 보다 정확히 아는

계기가 되고자 합니다. 공식적인 행사는 열리지 않고 곳곳에 선풍기와 쿨링시스템도

있지만 워낙 더우니 별무인 듯하고, 흐르는 땀으로 얼른 돌아왔다.

 

 

 

1. 무궁화 축제는 중앙행사와 지역행사로 이루어져, 독립기념관에서는 8월14일~15일

양일간 산림청이 주최하고, 지역행사로는 홍천군(7월28일~30일),수원시와 완주군

(8월 4일~6일) 그리고 세종시(8월14일~15일)에서 개최된다. 무궁화 축제를 계속 이어가는

것은 나라꽃이면서 정상적인 대접을 받지 못한다는 인식에서 이어져 가고 있다는 멘트가 있었다.

 

 

 

2. 무궁화는 옛 문헌에 의하면 먹을 수 있는 꽃이며, 전통의학에서 여러 질병에 효험이

있다고 한다. 무궁화와 근연종인 히비스커스의 유용성분도 여러 효능이 입증되고 화장품

제조에 유용하다고 한다. 동의보감과 본초강목에 의하면 나무껍질(木槿皮)은 기관지염,

인두염,장염,이질,치질,냉대하 등, 꽃(木槿花)는 급만성대장염,이질,치질,피부병,복통에

씨앗(木槿子)는 기침,가래,편두통에 효험이 있고, 유용성분의 사포나린은 노화지연,

종양억제,피부미용에, 히드로시트르산은 지방배출 촉진,식욕억제에,시리아쿠신은 자외선에

의한 피부노화 억제, 기능성 식품과 차(茶)류,화장품 제조에 유용하다고 알려지며, 중국•유럽

중심으로 특허건수가 급증한다고 한다.

2. 무궁화는 옛 문헌에 의하면 먹을 수 있는 꽃이며, 전통의학에서 여러 질병에 효험이

있다고 한다. 무궁화와 근연종인 히비스커스의 유용성분도 여러 효능이 입증되고 화장품

제조에 유용하다고 한다.

동의보감과 본초강목에 의하면 나무껍질(木槿皮)은 기관지염,인두염,장염,이질,치질,

냉대하 등, 꽃(木槿花)는 급만성대장염,이질,치질,피부병,복통에 씨앗(木槿子)는 기침,

가래,편두통에 효험이 있고, 유용성분의 사포나린은 노화지연,종양억제,피부미용에,

히드로시트르산은 지방배출 촉진,식욕억제에,시리아쿠신은 자외선에 의한 피부노화 억제,

기능성 식품과 차(茶)류,화장품 제조에 유용하다고 알려지며,

중국•유럽 중심으로 특허건수가 급증한다고 한다.

 

 

 

 

3. 무궁화 재배•관리

가지치기의 효과

◉수형조절-전체 나무 모양과 조화되지 않는 불필요한 가지를 제거하여 관상효과 증진

-한정된 공간에 재배 가능하도록 주간(主幹)이나 주지(主枝)를 잘라 크기 조절 가능

◉수세 및 개화량 조절

-수세가 약할 경우 강전정하여 영양생장을 촉진하므로서 새가지를 굵게 유도

-개화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약전정하여 눈수를 조절하고 고르게 영양을 배분

◉수관 내부 빛 투과 및 통풍 조건 개선

-수목 전체에 햇빛이 고르게 비치고 가지 사이 통풍을 원활히 하여 병해 예방 및 개화량

  증진 효과

◉병해충 감소 및 건전한 생육 유도

-휴면기 전정으로 월동중인 진딧물,깍지벌레 알을 제거하여 생육기 해충 감소 효과

-도장지,병든 가지,곁가지,맹아지를 제거하여 건전한 가지생장을 촉진하고 개화,

  결실 및 녹음 효과 증대

 

 

                                위는 워터 히비스커스, 아래는 덴마크 무궁화

 

 

 

해충명

가해부위

발병시기

방제법

목화진딧물

극성기:5월

메타시스톡스,디이메크론,코니도,타스타 등 살포

무궁화잎밤나방

7~8월

세빈,디프록스,더스반 등 살포

왜콩풍뎅이

8~9월

세빈,비산연 등 유기인제 살포

응애류

5~10월

테디온,오마이드 등을 바꿔 가며 살포

온실가루이

잎,가지

연중

코니도수화제,수프라사이드 등 살포

깍지벌레류

잎,가지

연중

수프라사이드,모폭스 등 침투성 살충제 살포

 

4. 무궁화의 분류: 국내육성 150여 품종을 비롯하여 세계적으로 300품종 정도가 있음

꽃잎 형태에 따른 분류

◉홑겹: 5개 기본 꽃잎으로 구성, 암술과 수술을 모두 갖춘 꽃

◉반겹꽃: 수술 일부가 변하여 속꽃잎으로 발달한 꽃

◉겹꽃: 수술은 물론 암술까지 모두 속꽃잎으로 변한 꽃

꽃잎 색깔에 따른 분류

◉배달계: 중심부에 단심이 없는 순백색의 꽃

 

◉단심계: 꽃의 중심부에 단심(붉은 색 또는 자색계통의 무늬)이 있는 꽃

-백단심계: 중심부에 단심이 있는 백색의 꽃

-홍단심계: 중심부에 단심이 있는 홍색 계통의 꽃

-청단심계: 중심부에 단심이 있는 청색 계통의 꽃

◉아사달계: 중심부에 단심이 있으며 백색의 꽃잎에 붉은 무늬가 있는 꽃

 

 

5. 나라꽃이 된 유래

나라꽃은 해당국가의 역사나 전설, 국민성을 상징하는 의미있는 식물로 자연스럽게 정해짐

역사 속의 무궁화

◉옛부터 우리 조상들은 스스로를 ‘무궁화가 많은 곳’이란 뜻으로 근역(槿域) 또는

  근화향(槿花鄕)이라 부름

◉고대 중국의 지리서 산해경(山海經) 등 다양한 자료에서 우리나라를 군자국(君子國)으로,

우리 국토를 무궁화 동산으로 묘사하고 있음

 

 

개화기•일제 강점기의 무궁화

◉1900년대 초 남궁억, 안창호 등 선각자들이 우리 민족의 근면성과 강인함이 무궁화와

  유사하다하여 나라 꽃으로 정함

◉이후 윤치호에 의해 작사된 애국가 후렴에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이라는 구절이

  포함되어 널리 불림

◉일제 강점기 독립투사들에 의해 독립정신과 민족얼의 상징으로 사용됨

대한민국의 무궁화

◉대한민국 정부 수립후 정식으로 국가(國歌)가 제정되고 무궁화도 자연스럽게 국화로 인식됨

◉이후 정부와 국가기관을 상징하는 많은 곳에 무궁화 문양이 사용됨

 

 

6. 무궁화의 특성과 분포

명칭

◉국명: 무궁화(無窮花; 끝없이 피어나 지지 않는 꽃)

※삼국시대 이전까지 환화(桓花),훈화(薰花),천지화(天指花) 등으로 다양하게 기록됨

◉학명: Hybiscus syriacus L.(이집트 여신의 이름에서 유래)

◉영명: Rose of Sharon(성스러운 곳에서 피어나는 아름다운 꽃)

 

 

특성

◉높이 3~5m 가량 자라는 낙엽활엽소교목으로 수명은 100년에 이름

◉적습하고 비옥한 땅을 선호하며 햇빛을 매우 좋아함

◉홑꽃 무궁화의 기본 꽃잎은 5매로 안쪽에서 서로 붙은 통꽃임

◉한 송이 꽃은 매일 아침 새로 피었다가 해가 지면 시들어 떨어지며, 7~9월까지 약 100일간

피어남

분포

◉원산지는 인도 북부에서 중국을 거쳐 우리나라 서해안에 이르는 지역으로 추정됨

◉꽃이 아름답고 개화기간이 길며 생명력이 강하여 세계 50여 개국에서 심고 가꿈

 

                                                           2부로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