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기

홀로 간 소요산-(2)

아름답지만~ 2013. 3. 2. 09:03

 

※ 자재암(自在庵)은 신라 선덕여왕 14년(645) 원효대사(元曉大師)가 창건한 유서깊은 사찰로서,고려 광종 25년(974) 왕명으로 각규대사(覺圭大師)가 중창했으며,의종(毅宗) 7년(1153) 화재를 당해 이듬해 각령선사(覺玲禪師)가 대웅전과 요사 일부를 중건했다. 그뒤 조선 고종 9년(1872) 원공선사(元空禪師)와 제암화상이 퇴락된 이 사찰을 44칸의 건물로 복원하고 영원사(靈源寺)라 개창했다. 순종 원년(1907) 정미의병 때는 이곳이 의병활동의 근거지였던 탓으로 일본군의 공격을 받아 불태워졌다. 그 후 제암화상과 그의 제자 성파스님이 복원,원래 이름인 자재암으로 고쳤다.그러나 6•25 때 다시 폐허가 되어 1961년에 대웅전,1971년에 요사,1974년에 포교당과 원효대를,1977년에는 삼성각을 각각 건립했다. 경내와 주변엔 1980년에 조성한 석굴•추담대사 사리탑•속리교•세심교가 있다. 최초의 창건자 원효대사가 수행하는동안 요석공주가 아들 설총을 데리고 와 머물렀다는 요석공주 궁지와 사자암지•소요사지•현암지•원효사지•조선태조 행궁지가 있다고 하나 그 위치는 알 수 없고, 의상대•나한대•금송굴•선녀탕•선녀폭포 등이 있어 경관을 더해주고 있다.

계단의 중간에 삼거리(←하백운대0.6km,→자재암50m/일주문0.5km,↑선녀탕0.65m)를 지나 10여분 헐덕거리니 소나무가 아담한 바위등에 이르고, 바위벽을 휘돌아 오르니 많은 미국인들이 담소하고 있다. 그곳을 지나며 계곡 건너 중백운대가 시선을 끌고, 조금 오르니 하백운대(←팔각정,→중백운대0.4km,↓자재암0.65km)이다. 팔각정에서 오르는 두분의 아줌마와 만나고 앞질러 안부로 내려섰다 급하게 오르는 산행로는 눈이 덜 녹아 조심해 진행하니 바위절벽 가까이의 어려운 삶을 살고 있는 몇그루의 소나무가 나타나는 중백운대(←중백운대 갈림길0.3km,→하백운대0.37km)이다.

                                       목재데크길의 선녀탕 갈림길 이정표와 수많은 계단이 있는 목재데크길

                       인근 미2사단 장병들인지 꽤 많은 인원이 시끌법적이며 쉬고있는 바위와 바위위에서 자란 소나무

중백운대는 바위봉인데도 소나무의 고목이 아름다움을 뽐내는 듯 푸른빛을 발하고 있으며 갈림길을 향하는 산길은 뾰죽한 암봉을 의지한 소나무를 지나 중백운대 갈림길(←상백운대0.3km,↓덕일봉0.7km,→중백운대0.3km/자재암1.3km)을 지나고 곧바로 선녀탕 갈림길(←상백운대0.25km/칼바위0.3km,→중백운대0.35km/하백운대0.75km,↑선녀탕1.0km)이다. 상백운대로 향하는 산로는 위험해 보여 아이젠을 착용하고 토치카를 질러 오르니 위의 상백운대이다. 아이젠 덕분에 질러서 도착한 것이다.

상백운대를 지나 짧은 거리(50m)에 칼바위(1•10)구조목을 만나고 칼바위능선을 따라 660m를 탄후 갈림길(←상백운대0.7km,→나한대0.6km,↓선녀탕입구0.8km)을 지나 6분후(300m진행) 안부로 내려서 갈림길(←상백운대1.0km,→나한대0.3km/의상대0.5km,↓선녀탕입구0.9km)을 만나고 나한대로 오르는 산로를 올려다 본다.

거리가 짧아 묵묵히 오르다 뒤를 돌아보니 칼바위 능선과 상백운대가 위용을 드러내고 곧 나한대 정상에 선다. 나한대에서 의상대는 0.2km 거리이다. 갈길을 보고 잠시 가다가 철제시설물을 돌아 나한대와 지나온 길을 뒤돌아 보았다.

                                              아래는 앞으로 가야할 의상대를 올려다 보았다.

의상대는 바위가 맨질맨질해 아이젠을 벗고 오르지만 미끄러워 조심스러웠고 주변을 돌아보고, 공주봉을 보고 출발(이정표: 1.2km공주봉)해 오래된 목재 안전데크를 내려서고 거칠은 산로를 따르다 우회로 평탄한 길을 지나니 샘터갈림길(←의상대0.75km,→공주봉0.45km,↓샘터0.6km/일주문1.4km)이며 공주봉,의상대를 쳐다본후 진행하니 공주봉(←구절터1.0km,→샘터갈림길0.5km)이다.

공주봉은 철쭉 식재지도 있고 넓게 데크도 만들어져 있다. 이곳서 만난 등산인은 어제 팔각정에서 출발해 돌았는데 5시간이 걸렸다고 한다. 구절터쪽으로 아이젠을 하고 가는 길은 잔설이 남은 빙판길이다. 잠시후 삼거리이정표(←공주봉0.2km/의상대1.4km,→일주문1.2km/소요산역3.5km,↗주차장1.4km/소요산역2.0km)에서 색다른 길인 짧은 그렇지만 다소 위험한 길을 택한다.

                                            가야할 공주봉의 모습과 오래된 안전시설인 목재데크

                      위의 좌편에 우회로를 들어서 편안하게 아래 사진의 바위옆 오솔길로 나온 가장 편안한 산로

원각사로 가는 길인 이 길은 안전시설이 없고 급경사를 이루어 아이젠을 착용하고도 중심을 잡으려 매우 조심스럽게 장단지가 댕길 정도로 힘을 주며 내려서다가 헬기장을 만나고 잠시후 삼거리(↖원각사0.8km/동두천역2.9km,↗주차장0.8km/소요산역1.4km,↓헬기장0.2km/공주봉0.8km)를 지나며 진흙과 덜풀린 얼음길을 지그재그로 내려서 완만해진 경사로를 따라 자유수호박물관 삼거리 근처에서 산행을 마감한다.

6. 에필로그: 언제부터인가 산행 들머리 근처에서 유적지나 조국을 지키던 선열들을 찾는 버릇이 생겼다. 이번 산행지에 참전용사비가 있어 예를 갖춤도 그런 맥락에서 이루어졌다. 능선을 산행하며 뒤따르는 산님은 하백운대에서 잠시 만났던 두분, 그리고 마주친 분은 모두 여덟 분이니 산행을 많이 와도 입구의 먹거리촌이 대부분의 시간을 때우는 분들인가 보다. 또 돌아오는 길은 땀에 절은 옷 때문에 옆에 앉기가 거북했던지 피하는 모습에 다소 부담스러운 귀가길이었다. 90년대 이곳을 왔을 때보다 많은 안전시설을 설치해 그리 어렵지 않게 종주함에 동두천시 당국에 감사의 인사를 드리며, 늦은 점심(순대국)과 막걸리도 맛있었으며, 공짜로 타는 전철 비용은 불우이웃돕기의 성금에 사용할 예정임을 공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