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여행기 등

두륜샨케이블카와 마륵사지석탑-2

아름답지만~ 2019. 4. 11. 22:55

다음으로 이동하면서 점심집을 어림하다가 우렁쌈밥으로 결정해 미륵사지가 500m도

안떨어진 곳에서 해결하고 미륵사지 주차장에 내렸다. 복원된 석탑 때문에 많은

차량들이 모였던 듯 주차장도 변했고 입구도 변했다. 석탑이 복원된 모습은 좀더 욕심

같아서는 동탑처럼 복원되지 못한 아쉬움을 가질만 했다. 어느 촌노는 이곳 출신이라며

완전히 복원되지 못했음에 꽤 불만을 토로했다는 소리를 들었다고 전언한다. 문화재의

완전 복원과 불완전 복원은 담당자들의 몫일 것입니다.

미륵사지(彌勒寺址) 사적 제150호,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미륵사지로 362

미륵사는 백제(기원전18년~기원후660년)시대의 가장 큰 사찰로 창건에 관한 이야기는 삼국유사

(三國遺事)와 ‘금제사리봉영기’에 기록되어 있다. 삼국유사에 따르면 왕위에 오른 서동이 왕비

선화와 함께 사자사(師子寺)에 가던 중 용화산(현재 미륵산) 아래의 한 연못에 이르자 물속에서

미륵삼존이 나타났다. 선화비의 간청으로 연못을 메워 탑과 불전을 각각 세 곳에 세우고 미륵사라

하였다고 전한다. 미륵사지 석탑(서원석탑)에서 발견된 ‘금제사리봉영기’에는 백제 무왕

(639년,己 亥) 왕비였던 사탁적덕(沙乇積德)의 딸이 발원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통일신라시대

초기에 규모가 커진 미륵사는 조선중기인 1600년경까지 사찰의 기능을 이어온 것으로 추정된다.

용화산 아래 3 원의 가람배치는 미래의 부처님인 미륵이 성불하여 용화보리수나무 아래에서 설법을

세 번 베풀어 중생을 구제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독특한 가람 배치 외에 석탑의

건립, 금당 기단의 공간 구조, 석등의 조성과 사리장엄구 등의 공예품에서 나타나는 독창성은

백제의 문화 역량이 최대한 발휘된 건축 문화의 정점이라고 할 수 있다. 나아가 미륵사지가 보여주는

백제 문화는 신라나 일본의 고대 문화의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미륵사지에는 국보 제11호

석탑, 보물 제236호 당간지주, 보물 제1753호 금동향로,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43호

석등하대석과 석탑 출토 사리장엄구 등 중요 문화재가 남아 있다. 동원의 구층석탑은 고고학•

건축학적인 고증을 통해 1992년 복원되었다.

 

 

 

유물출토 상항

석탑 1층 심주석 중앙에 방형 사리공(한 변 25cm, 깊이 26.5cm)을 조성하고 바닥에는 바닥면을

덮을 수 있는 크기의 판유리를 깔고 그 위에 다양한 유물을 차례로 안치하였다. 먼저 사리공 사면에

청동합 6개를 두고 이 합들 사이에는 유리구슬을 채운 뒤 남측에는 은제관식과 금판들을, 북측에는

직물에 싼 칼(도자,刀子) 4자루를 두고, 동측에 1자루, 서측에 2자루의 칼을 각각 올려 놓았다.

그리고 남측 벽면에 비스듬히 금제사리봉영기를 올려놓고 정중앙에 사리호를 마지막으로 안치한

상태로 확인되었다.

유물목록

유물명

크기(cm)

비 고

1

금동제사리호

7.7☓13

1(일괄)

금제유라구슬,유리구슬,광물,유기물 등(3,990여점)

2

금제사리내호

2.6☓5.9

1(일괄)

금제구슬,유리구슬,유기물,사리 등(275점)

3

유리제사리병

0.9☓1.4(잔존부)

1

파편 일괄 포함

4

금제사리봉영기

15.3☓10.3☓0.13

1

己亥年(639년),百濟王后 명문,193자(앞99자,뒤94자)

5

금제족집게

0.8☓5

1

금사 등 실을 꼬아 만든 끈 포함

6

금판

1.5☓8.3☓0.1내외

18

시주자 명문 3점

7

금괴

2.9☓1.9이하

3

크기 및 형태 각각 다름

8

금제고리

∅1.5

1

9

금제구슬

∅0.4이하

23

화형 6점,원형 17점

10

금동제고리

2.1(∅1.4)

1

두 개가 연결된 한쌍

11

금분

-

1

직물 주변에서 수습

12

은제관식

3.7☓13.4,4☓13.2

2

1단형,2단형

13

은제과대장식

2☓13.8,2.1☓3.9

2

띠드리개장식 1점 과판 1점

14

은괴

1.3☓1.8

1

15

주석괴

3.6☓2.8

1

유리판 위에서 수습

16

청동합

8.3☓4.6이하

6

금제고리,금제구슬,금판,금못장식,금괴,유리구슬,호박,곡옥,진주구슬,금속사,직물,유기물 등,(4,970여점)

17

유리판

23☓23☓1

1

사리공 내 최하부에 위치

18

유리구슬

∅1~∅1.8

566

19

∅0.2~∅0.4

30

20

도자

2.2☓18내외

7

부식이 심한 상태

21

호박

2.2☓1.9,2.1☓1.2

2

22

진주구슬

∅0.5~∅0.8

32

23

직물

-

1(일괄)

견직물 및 금사 등 부식이 심한 상태

 

 

 

 

 

 

 

 

 

 

 

 

 

 

 

 

 

 

3. 소회: 우리 형제들의 1박 후의 시간은 조급해 지는게 일상화 되어 있는 편이다. 빨리

되돌아 가고픈 마음 때문일 것이다. 운전이 피로했고, 승차에서 마음대로 뻗지 못하는

다리가 피로했기 때문에라도 더 구경 보다는 각자의 휴식시간이 더 필요한 때문일 것이다.

미륵사지는 황량한 터가 복원될길 없는 석탑으로 남아 있다는게 다소 불만족 스럽지만

군더더기를 고증없이 만드는 것 보다는 나을 것이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