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여행기 등

소한계곡

아름답지만~ 2020. 6. 3. 21:01

강원도 삼척시 노곡면 중마읍리에 위치한 삼태산(천태종 상월원각 대조사 4대 성지)에서 발원한 냇물이 20여리 북쪽으로 흐르다 삼척시 노곡면 하월산리를 지나면서 15리를 땅속으로 스며들어 우리나라 최대의 석회동굴( 6km)이자 천연기념물 제226호인 초당굴과 소한굴의 석회암층을 뚫고 용출되는 신비한 계곡으 로 사계절 수온이 13이내로 유지되며 석회성분이 풍부하고 1.5m/s 이상의 유속을 가지는 특징이 있는 데, 이에 관한 내용은 조선시대 1662년 허목(許穆)이 편찬한 척주지(陟州誌)에 잘 기술되어 있다.

탐방로 입구(전체 노선길이: 0.7km)[야생화정원-반디불이 덩굴터널-반디불이 덩굴터널-관찰데크(트릭아트)

                                                        데크로드

                                                            

                                                전망대 ━ ━민물김 포토존 조형물

                                                           

                                                    생태체험장 쉼터

소한천 민물김 서식지 안내

민물김은 전세계적으로 극히 드물게 생산되는 최고급 식품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 삼척에서만 서 식하는 희귀종 생물자원으로 소한천 상류계곡 봄, 가을에 성장하여 생산되나 최근들어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므로 귀중한 생물자원의 서식지 보존가치가 필요하여 생태경관 보존지역으로 지정 관리하고 있습 니다.

민물김 서식지 환경특성 [녹조류 민물 파래과, 유성생식무성생식 번식, 석회암 지대, 용천수, 좁은 서식온도, 약알카리성, 빠른 유속, 유속이 빠른 여울이 있는 구간의 돌, 콘크리트 표면 서식,

일조시간 또는 일조량이 많은 구간에 서식]

민물김 생활사 및 생성과정 [11~3월 자웅배우자 형성 -접합자 형성 및 발아 -감수분열 -엽상체 형성(4월부터)

무성생식 포자만드는 민물김11~3(쇠퇴시기)4(엽상체 형성)7(엽상체 생장 및 부동포자 형성)

유성생식 포자 만드는 민물김 -8~10월 가장 왕성 -포자 발아 후 엽상체 형성 -암반 주위 형성 -엽상체 엽면부 형성 7~10월 부동포자 형성 무성생식(부동포자 및 엽상체 포자 형성)8(엽상체 성장)10(엽상체 최대 성장)11~3월 자웅배우자 형성

민물김의 모습이 사알짝 보이는 사진이다. 계곡의 길이에 비해 수량은 매우 많은 편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