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여행기 등

탄금대 주변 둘러보기

아름답지만~ 2015. 1. 15. 08:13

충주에서 근무하며 돌아보지 못한 곳들을 자투리 시간을 이용해 보기로 마음을 정하고 두 번에 걸친 국보와 유형문화재를 돌아 본 것들을 기록해 본다.

1)탄금대 옆 세계무술공원(1516); 남한강변의 넓은 터를 쾌적하게 꾸며놓은 듯 하지만, 겨울의 썰렁함이 더해져서 웬지 쓸쓸해 보이기까지 한다. 옆의 한강종주길도 응달은 결빙되어 강변로를 잠시 따라보지만 을씨년스럽기만 해 무술공원내의 시설물을 감상하는 것으로 마무리를 짓고, 탄금대로 차를 몰아 간다.

 

*호국탑 건립취지문: 한반도의 중심도시 충주는 예부터 애국 충절의 본향으로 명성이 매우 높은 고장입니다. 나라를 지키기 위해 노력한 우리고장의 인물과 역사에 대하여 다시한번 생각하고, 이를 계기로 자라나는 후손들에게 호국정신을 일깨워 계승발전시키고자 이곳에 호국탑을 세웁니다.        20131222일 충주시장

*한강종주 자전거길(충주댐 12.6km, 팔당대교 131.6km)목행 2km                

*탄금대제방 시설안내: 포토존 진입계단 남한강전망대 진입계단 목교 진입계단

미륵천 습지 관찰데크로 목교(미륵천) 진입계단 새한천 습지

                    

*4대강 국토종주 자전거길 종합안내

국토종주(한강) 자전거길: 77km, 아라서해갑문~아라 한강갑문~팔당대교

[?아라서해갑문-?인천터미널-?시천가람터-?두리생태공원-?아라한강갑문-?난지지구-?마포대교-?반포대교-?서울숲(성수대교)-?광진교-?팔당대교]

국토종주(한강) 자전거길: 132km, 팔당대교~충주 탄금대

[?팔당대교-?()능내역-?북한강철교-?양수역-?신원역-?국수역-?아신역-?양평역-?개군레포츠공원-?이포보-?담낭리섬-?여주저류지-?여주보-양샘-?금모레온모래공원-?강천보-?강천섬-?섬강교-?충주댐]

?탄금대]

국토종주(새재) 자전거길: 100km,충주 탄금대~상주 상풍교

[?탄금대-?달천교-?향산교-?수주팔봉-?중앙경찰학교-?안보삼거리-?소조령-?새재길휴게소-?평촌교차로-?이화령-?진안삼거리-?소이교-?진남휴게소-?주명역-?영강교-?관업교-?금곡교-?상풍교]

                   

*수석원: 20126월부터 약 2개월 동안 남한강에서 수석을 95점 채취하여 조성된 공간입니다. 전시된 수석은 거대한 돌이 수 천년동안 강물에 의해 깍이고 다듬어져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된 자연이 만들어 놓은 조각품입니다.

*충주 중원문화길 안내도

1코스(8km): ?탄금대-?세계무술공원-?국토종주자전거도로-?구 목행대교-?한강8공구-?자연생태체험관

2코스(15km): ?중앙탑-?충주고구려비-?장미산성-?조정지댐-?한강7공구-?솔밭공원-?목계나루

2)탄금대(1516); 탄금대 주차장에 차를 대고 탄금대 설명문을 담고 그 옆 탄금대비는 차량이 바짝 대어 담기를 포기하고 탄금대사연 노래비를 거쳐 충혼탑과 8천고혼 위령탑과 감자꽃 노래비를 보고 돌아왔다.

*탄금대: 충주시 칠금동에 있는 고적지이며 명승 제42호이다. 대문산(大門山)을 중심으로 남한강 상류와 달천(達川)이 합류하는 지점에 있으며 신라 552(진흥왕13) 가야국에서 귀화한 악사(樂士) 우륵이 이곳에서 금()을 탓다()는 것에서 탄금대(彈琴臺)라는 지명이 유래되었다.

탄금대에는 신립의 충의심을 기리기 위해 군수 김용은(金容殷)이 건립하고 육당(六堂)최남선(崔南善)이 찬한 탄금대비가 있으며, 1955년에 건립된 충혼탑과 항일시인 권태응(權泰應)선생의 감자꽃 노래비, 1976년에 건립된 탄금정과 악성 우륵선생 추모비, 신립장군 순절비, 조웅장군 기적비 등이 함께 있습니다.

*탄금대사연 노래 작사 이병환, 작곡 백봉, 노래 주현미

탄금정 굽이돌아 흘러가는 한강수야 신립장군 배수진이 여기인가요

열두래 굽이치는 강물도 목메는데 그님은 어디가고 물새만이 슬피우나

송림이 우거져서 산새도 우는가요 가야금이 울었다고 탄금인가요

우륵이 풍류읊던 대문산 가는허리 노을진 남한강에 님 부르는 탄금아가씨

*충혼탑(忠魂塔) <관리번호: 24-1-1, 관리자: 충주시장> 국가보훈처 지정 현충시설

서기1955(을미년)11월 대한민국 상이군경 용사회 충청북도 충주분회와 대한민국 제대장병 보도회(현 재향군인회)에서 광복 이후 전사한 충주 중원 지역의 장병과 경찰관, 군무원, 군노무자 2,838위의 넋을 추모하고자 충혼탑을 세웠다. 20045월 충주시에서 호국영령의 위패 봉안실을 세웠고, 그 위에 탑을 원형 그대로 복원하였다. 그 뒤로 호국영령의 위패가 추가되어 2,910위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으며(201212월 현재), 매년 66일 현충일에 이곳에서 향사(享祀)를 지낸다.

  위치; 충주시 칠금동 산1-1번지      건립일시; 195511(현존 충혼탑 중 가장 오래됨)

  규모 및 구조; 화강암, 높이 8.5m       휘호; 국내 유일의 우남 이승만 대통령 친필

*소요예산; 200만환 *건립위원; 위원장 김영호, 부위원장 이낙진,오필동외 10

*감자꽃 노래비 (자주 꽃 핀 건 자주감자 파보나 마나 자주 감자

하얀 꽃 핀 건 하얀감자 파보나 마나 하얀 감자)

*동천(洞泉) 권태응(權泰應): 본관은 안동이며 호는 동천(洞泉), 충주시 칠금동에서 태어났다. 1932년 충주공립보통학교, 1937년 서울 제일고등보통학교(현 경기고)를 졸업하고 일본으로 유학하여 와세다대학(早稻田大學) 문학과에 입학하였다. 평소 일본인들의 부당행위에 불만을 가지다가 항일운동에 나서게 되었는데 일본경찰에 입건되어 1학년도 마치지 못하고 퇴학당하였다. 그 후 재일유학생들을 모아 독서회를 조직하여 항일운동을 하다 1939년 스가모(巢鴨)형무소에 투옥되었다. 형무소에서 폐결핵을 얻어 19406월 출옥하여 귀국하여 치료를 받다가 병세가 악화되어 고향인 충주에 내려와 야학과 소인극(素人劇)을 통한 항일운동을 전개했다. 광복후 6.25 한국전쟁이 일어나자 전쟁 중에 약을 구하지 못해 1951년 별세했다.

권태응이 남긴 대부분의 시가 애국적 내용을 담고 있으며 감자꽃도 일제의 창씨개명(創氏改名)에 맞선 작품이라는 평이 있는데 동시(童詩)인 만큼 순수한 마음으로 받아들이는 것도 좋을 듯하다. 윤석중선생 등의 후원으로 196855일 현위치에 감자꽃 노래비를 세웠으며 정부에서는 권태응선생의 독립운동 공로를 인정하여 2005815일 대통령 표창을 추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