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내와 같이 한 하늘길과 종댕이길-1 겨울만 찾아드는 조류독감(A I)이 올해 들어 두 번째 이동제한(Stand still)으로 강제 휴무를 하게되어 충주에서 휴무를 하고자 아내를 불러 내렸다. 저녁을 올갱이전골로 배 터지게 먹고 와 소화가 안된다고 소화제 사다먹고 13일 저녁을 보냈다. 이튿날 일찍 아침을 먹고 밖을 나서려는데 눈.. 국내 여행기 등 2016.12.20
동해안을 콕 찍고 오기 (광교산우회; 2016.10.23.)-2 다시 응향각(凝香閣)과 대성문(大聖門)을 지나고 칠층석탑의 공사중인 간이 칸막이를 돌아드니 원통보전(圓通寶殿)이다. 건칠관음보살좌상이 본존불로 안치된 원통보전에 들려 오늘의 여행의 무사안녕을 빌고 이정목을 따라가다 강원도 유형문화재로 등재된 담장(垣墻)을 지나는 원통.. 국내 여행기 등 2016.11.02
동해안을 콕 찍고 오기 (광교산우회; 2016.10.23.)-1 몇차례 공지에 함께 한다는게 은근히 걱정되는 여행길이었으나 각오하고 나선 길, 점심으로 회를 먹고 낙산사를 들리고 설악산과 점봉산 계곡인 설악로로 한계령을 들렸다오는 코스는 뒤늦은 귀가를 각오해야했던 여행이다. 낙산사는 젊을 적 자주 찾았던 곳이었으나 2005년의 화재 소실.. 국내 여행기 등 2016.11.01
광명시를 찾아서 (광명동굴, 오리이원익 유적지)-3 오리 이원익의 영우 경기도유형문화재 제161호, 소재지: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 1084 영우(影宇)란 영정을 모신 건물을 말한다. 이곳은 조선 중기의 유명한 재상인 오리 이원익(1547~1634)의 영정을 모신 곳으로, 선조 13년(1580) 이전의 이원익의 영정이 남아있는 곳이다. 이곳은 비가 새는 2칸 초.. 국내 여행기 등 2016.11.01
광명시를 찾아서 (광명동굴, 오리이원익 유적지)-2 4) 충현박물관과 묘소 등: 서민적인 인품과 청백리 정신에 투철했던 오리 이원익 선생(1547~1634)은 유언에서조차 ‘내가 죽거든 절대 후하게 장사지내지 마라’라고 하였다. 선조•광해 군•인조 3대에 걸쳐 5차례나 영의정을 지냈지만 벼슬에서 은퇴한 후 이곳 초가에 살 때 승지를 .. 국내 여행기 등 2016.11.01
광명시를 찾아서 (광명동굴, 오리이원익 유적지)-1 황금연휴라지만 호우를 예보하는 바람에 하루라도 어딜 다녀와야겠다고 정한 곳이 가까운 광명시의 광명동굴과 충현박물관 등이다. 수도권의 낯선 길을 네비없이 찾는다는 부담을 안고 애마를 몰며 수시로 확인하느라 다소 어려웠으나 무사히 다녀왔다. 데크에서 길건너 층계를 오르는.. 국내 여행기 등 2016.10.31
삼형제 여행 (2016.10,14~15)-2 1. 가는 길과 여정: 10월14일[용주농원(09시08분)-봉영로-중부대로-신갈IC(09시30분)-1•50고속도-횡성휴게소(11시17분~40분)-50•65고속도-하조대IC-솔비치리조트(13시10분~15분)-7국도-설악산로-<정체로 회차>(13시45분)-대포항(14시05분~15시25분)-휴휴암(16시03분~17시)-죽도정(17시04분~23분)-솔.. 국내 여행기 등 2016.10.28
삼형제 여행 (2016.10,14~15)-1 아버님이 작고하신 이후 처음(21년여)으로 형제가 여행을 합의해 막내가 모든 추진을 하고 따르는 식의 결행이 이루어졌다. 이번 여행은 당초 막내의 차 한 대로 움직이려 했으나 둘 째가 행사 참여 문제로 차량 두 대가 움직였다. 모처럼의 가족여행이다 보니 준비는 다소 차질이 있겠으.. 국내 여행기 등 2016.10.27
전남 송광사와 순천만 (광교산우회) 조계산(曹溪山)은 해발 884m로 광주의 무등산, 영암의 월출산과 함께 호남의 3대 명산이라 불린다. 조계산의 동쪽에는 선암사(仙巖寺)가, 그리고 북서쪽 자락에는 송광사(松廣寺)가 자리하며 우리나라 삼보사찰(三寶寺刹)의 하나인 승보종찰(僧寶宗刹)의 근본 도량으로서, 한국불교와 역사.. 국내 여행기 등 2016.05.13
고창 선운사,고창읍성 다녀오기-3 ※ 작청(作廳)은 질청이라고도 하였는데 이방(吏房)과 아전(衙前)들이 소관 업무를 처리하던 곳이고, 모양지관(牟陽之館)은 조선시대 조정에서 파견된 관원(官員)들의 숙소로 사용되었으며, 중앙의 몸체(正堂)에는 임금을 상징하는 전패(殿牌)를 모시고 매월 초하루와 보름날 그리고 경사.. 국내 여행기 등 2016.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