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여행기 등 335

화성(華城) 당성(唐城)

대부도를 가다가 나타나는 당성, 궁평항을 가다가도 지나고 해 시간 내어 들려 보았다. 방문자센터에 들려 자원봉사자의 친절한 안내와 설명을 듣고 세터에 있는 모형도도 담고~ 화성 당성(唐城) 당성은 화성 상안리의 구봉산(해발 159m)정상부와 서해를 내려다보는 서쪽 능선에 쌓은 1차 성과 구봉산 정상부와 동쪽의 능선 및 계곡을 둘러 쌓은 2차 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당성이 자리 잡은 곳은 원래 삼국시대 백제의 영역이었는데, 5세기 후반 고구려가 차지하였다가, 6세기 중반 신라가 점령하게 되었다. 신라는 당성을 거점으로 하여 바닷길을 통해 중국의 당나라와 정치, 외교, 군사, 문물의 교류를 진행하였으며, 당성은 고려 초까지 대중국 교역의 중심지로 활용되었다. 1차 성은 신라가 한강 유역을 차지한 6세기 중반..

부부가 다녀온 철원의 두루미 탐조와 물윗길 그리고 잔도길-3

한탄강 주상절리길 순담 주상절리길에는 오뎅 정도의 매점 두 곳이 있어 간식 정도로 먹고 드르니까지 완주한 뒤 느긋하게 점심 먹는다고 한뒤 출발(12시35분)해 드르니 매표소에 도착(14시02분)한 여정을 정리. [순담매표소-단층교(0.4⇄3.2)-선돌교•구리소전망대(0.5⇄3.1) -돌개구멍교(0.6⇄3.0)-한여울교(0.7⇄2.9)-화강암교(0.8⇄2.8)-수평절리교(0.9⇄2.7) -바위그늘교(1.1⇄2.5)-2번홀교(1.3⇄2.3)-스카이전망대(1.6⇄2.0) -동주황벽전망쉼터(1.9⇄1.7)-현화교(2.1⇄1.5)-돌단풍전망쉼터•돌단풍교(2.2⇄1.4) -쌍자라바위교(2.5⇄1.1)-주상절리교•드르니스카이전망대•주상절리교(2.7⇄0.9)-너른바위전망쉼터(2.8⇄0.8)-민출랑전망쉼터(3.1⇄0.5..

부부가 다녀온 철원의 두루미 탐조와 물윗길 그리고 잔도길-2

1월31일 자투리 시간 관광 내일 고석정 관광지를 둘러볼 시간이 없어 숙소를 정한 후 미리 30분여 둘러 보며 옛 추억 (2017년 3월14일)을 더듬어 보았다. 그리고 고석정 앞 삼정콩마을두부집에서 저녁먹고 팔레스 모텔로 가 마무리한다. 한탄강 한여울길 1코스 걷기 숙소가 고석정 앞인데 네비를 찍어보니 약 3km이다. 한탄강 지오트레일 한여울 1코스는 3.1km[고석정-0.7km- 마당바위-0.8km-송대소-1.0km-태봉대교-0.6km-직탕폭포/총연장 3.1km] 그래서 걷기로 해[08시20분~09시23분] 걸었다. 중간 중간 한탄강을 내려다 보는 재미가 쏠쏠했다. 한탄강 물윗길 트레킹 직탕폭포서 시작해 매표는 태봉대교서 하고 송대소를 거쳐 마당바위, 승일교, 고석정을 거치고 합수지를 지나 순담에 이..

부부가 다녀온 철원의 두루미 탐조와 물윗길 그리고 잔도길-1

1) 다녀온 날 2024년 1월31일부터 2월 1일까지 대중교통을 이용해서~ 2) DMZ두루미 탐조대 버스투어는 1일 2회(10:00, 14:00)인데 집에서 08시가 조금 안되어 출발했지만 시내버스, 전철 3회 환승해 강변역에서 내려 동서울 터미널에서 철원 동송행(10시 출발)을 타고 동송터미널에 도착(11시50분경) 동송종합시장 근처에서 비빔밥 먹고 택시로 양지리 DMZ두루미평화타운에 도착한다. No. 종 류 수 명 크 기 먹 이 몸길이♂/♀ 편날개 무게♂/♀ 01 재두루미 20~30년 127cm 180cm 5.1~6kg 잡식성 02 흑두루미 105cm 3.3~4.8kg/ 3.4~3.7kg 〃 03 큰두루미 25년(사육40년) 키150cm 6.8~8.6kg 04 쇠재두루미 96cm 잡식성 05 두루미..

아내와 다녀온 여행(포항 등; 2023.11.27.~29.)-4

29일은 우리식의 아침밥을 하기로 하고 전날 준비해준 목욕표를 들고 산책을 돌다가 05시30분 오픈하자마자 들어가 묵은 피로를 풀고 우유를 사들고 와 기장떡과 카스테라로 아침을 때웠다. 처형도 시내에 볼 일이 있다고 해 목적지까지 모셔다 드리고 구미의 도리사를 향했다. 위: 도리사 서대에서 바라본 낙동강 구미湺가 가까이 보이고 구름 속에 황악산이, 아래: 구미산이 가까이 고속도로를 탈출한 후 일반국도 지방도를 돌아서 도리사 산문을 들어서면서 고즈넉한 분위기와 중간에 미나리 판매 간판을 보고 가파른 고갯길을 따라 도리사에 도착해 입구에 주차 시키고 사찰 내로 들어갔다. 초전지라지만 꽤나 규모가 있고 산중에 꽤 너른 터를 잡고 있어 이곳 저곳을 돌아 보고 마지막으로 서대에 올라 탁트인 경치에 매료되었다가 귀..

아내와 다녀온 여행(포항 등; 2023.11.27.~29.)-3

본론 포항에는 아내의 먼 친척 언니가 살고 있어 오래 전부터 다녀올 계획을 세웠으나 여러 가지 일로 미루어지기를 여러 달이 지나 금년의 가장 빈 날을 택했건만, 화성시에 떠나던 날 늦가을 비가 내려 주저하는 걸 강행해 여행 중 가장 늦은 시간에 출발하게 되었다. 그래서 시내 중심지에 있는 환호공원에서 첫날 일정을 계획하게 되었다.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점심을 먹었고 환호공원에는 15시가 다되어 도착해 EBS에서 보여준 스페이스워크를 다녀왔다. 올라가 걷는데 흔들거려 많이는 걷지 못하고 내려와 처형과 아내가 통화해 네비를 찍으니 2.2km로 승용차로 7분여 거리였다. 내마음의 전차망원경 作 이상민 무수하게 많은 스테인레스 스틸봉을 조밀하게 용접하여 만든 원추형의 내부는 마치 모든 물체와 빛을 흡수하는 블랙홀..

아내와 다녀온 여행(포항 등; 2023.11.27.~29.)-2

명소 간략 소개 1. 환호공원 북부해수욕장 맨 끝 해안마을인 설머리 그 뒷동산에 시민들이 즐길 수 있는 휴식공간인 공원. 환호공원 주요시설 1. 전망대, 2. 스페이스워크, 3. 시립미술관, 4. 프로그램분수 ,5. 관리사무소, 6. 대폭포, 7. 동물농장, 8. 환호성놀이터 환호공원 제3주차장에 차를 대고 스페이스워크로 출발하며 담았다. 먼거리를 태우고 온 레이 차량이 정 가운데 보인다. 위: 영일대 해수욕장의 정자가 바다로 힘차게 뛰어나온 듯하다. ※ 스페이스워크 소개 ✼작품 규모: 60m☓57m☓25(H)m, ✼트랙 길이: 333m, ✼계단 개수: 717개, ✼전체 무게: 317톤(진입계단 포함 전체), ✼지지 기둥: 25개(진입계단 기둥 1개 포함) 보경사 보경사는 삼국시대 신라의 지병법사가 60..

아내와 다녀온 여행(포항 등; 2023.11.27.~29.)-1

1) 여정의 요약 ✼ 11월27일(월) 집[마일메타/74274,출발시간/10:16]-화서휴게소[마일메타/74423,휴식시간 12:11~12:26,간식(부산 어묵; 8,500원]-군위•영천휴게소[마일메타/ 74510,휴식시간 13:22~13:50,중식(우동류; 14,500원)]- 환호공원[마일메타/74580,휴식 및 스페이스워크 등 14:53~15:55,아포가토(13,000원)]-처형네[대방 한양아파트102-1003,마일메타/74582,도착시간/16:08] ✼ 11월28일(화) 새벽운동[05:20~07:30], 출발[마일메타/74582, 출발시간/09:10]-주유 49,000원(30.837L) [09:22, 마일메타/74586]-보경사 및 내연산[마일메타74608,소요시간 09:53~12:08,보시(10,..

예산(禮山)의 백제부흥군길 5코스 일부 걷기

백제부흥군길은 총 9개 코스로 나누어져 있고 홍천군 광천읍 담산리 500-1에서부터 예산군을 거쳐 당진시까지 걸쳐있는 총거리 101km와 출렁다리 코스 6.1km 그리고 아미산 순환코스 9.5km로 나뉘어져 있다. [1코스: 오서산산촌마을센터-16.5km-대현1구 노인회관(장곡면 대현리 458-9), 2코스: 대현1구 노인회관-13.9km-광시한우테마공원(광시면 광시리 67-4), 3코스: 광시한우테마공원-10.0km-의좋은형제공원(광시면 동산리 산13), 4코스: 의좋은형제공원-12.2km-예산역(예산읍 역전로 83), 4-1코스: 예당호출렁다리-6.1m-예당호출렁다리, 5코스: 예산역-9.7km-추사고택(신암면 용궁리 799-2), 6코스: 추사고택-10.2km-합덕수리민속박물관(합덕읍 합덕리 330..

솔뫼성지

성 김대건 신부와 연관이 있는 곳을 꽤 많이 다녀왔으나, 이곳 탄생지는 처음이었다. 우리 나라가 꽤 부유해지니 성지에 대한 투자도 대단해졌다는 생각은 나 혼자만의 생각일까? 아무턴 우리가 살아가는데 귀감이 될 분들을 잘 모시고 섬기는 일은 아낌이 있어서는 안된다는 생각이다. 솔뫼성지 “기억과 희망” 2014년 8월15일, 제 6회 아시아청년대회와 제 3회 한국 청년대회가 개최된 이 자리에,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와 청년들과의 만남을 위해, 프란치스코 교황이 방문하였다. 2021년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 탄생 200주년 희년을 맞이하여, 그분과 동료 순교자들이 남겨주신 위대한 신앙의 유산과 삶의 가치들을 이어받기 위하여, “기억과 희망”(Memoria et Spes)의 대성전과 함께 카톨릭 예술 공간을..